맨위로가기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1910년 프랑스령 가봉, 프랑스령 콩고, 우방기샤리, 프랑스령 차드를 포함하는 연방으로 설립되었다. 브라자빌에 총독이 주재하며, 각 지역에 부지사가 배치되었다. 이 지역은 1958년 프랑스 공동체 내 자치령으로 투표한 후 해체되었으며, 1959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연합을 형성했다가 1960년 각 공화국이 독립했다.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콩고 자유국과 유사한 특허 제도로 인해 잔학 행위가 발생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에 합류하여 아프리카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 프랑스령 카메룬
    프랑스령 카메룬은 독일의 보호령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영국에 위임 통치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하여 카메룬 공화국이 되었으며, 영국령 카메룬과의 통합을 거쳐 카메룬 연방 공화국으로 발전했다.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 사르
    사르는 차드 남부 샤리 강변에 위치하며,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시대 강제 노동 수용소 출신들을 위해 설립되었고, 차드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며, 면화 산업과 상업적 어업의 중심지이다.
  • 중앙아프리카의 역사 - 프랑스령 카메룬
    프랑스령 카메룬은 독일의 보호령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영국에 위임 통치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하여 카메룬 공화국이 되었으며, 영국령 카메룬과의 통합을 거쳐 카메룬 연방 공화국으로 발전했다.
  • 중앙아프리카의 역사 - 포르투갈령 앙골라
    포르투갈령 앙골라는 1484년부터 1975년까지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지역으로, 노예 무역에 기반한 경제와 불균등한 사회 구조 속에서 독립 운동과 앙골라 독립 전쟁을 거쳐 앙골라 인민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화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프랑스령 서아프리카는 프랑스 식민 제국이 서아프리카 지역을 점령하여 설립한 연합 식민지였으며, 다카르를 수도로 두고 아프리카 원주민에게 제한적인 권리를 부여하다가 1960년 해체되었다.
  •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화 - 파쇼다 사건
    파쇼다 사건은 1898년 아프리카 분할 시기, 수단의 파쇼다에서 영국과 프랑스가 제국주의적 야망으로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군의 파쇼다 점령 후 영국군의 도착으로 군사적 충돌 위기가 있었으나 프랑스의 철수로 종결되었고, 이후 영불 협약의 계기가 되어 유럽 열강의 식민지 경쟁과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원어 명칭Afrique-Équatoriale française (프랑스어)
일반 명칭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종교가톨릭교 및 기타
역사
존속 기간1910년 - 1958년
설립1910년 1월 15일
해체1958년 9월
이전 국가우방기-샤리
프랑스령 차드
프랑스령 콩고
계승 국가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가봉
콩고 공화국
정치
정치 체제연방 (1910–1934), 식민지 (1934–1958)
수도브라자빌
공용어프랑스어
총독마르샬 앙리 메를린 (1908–1917)
폴 루이 가브리엘 쇼베 (1951–1957)
고등 판무관폴 루이 가브리엘 쇼베 (1957–1958)
피에르 메스메르 (1958)
경제
통화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프랑
중앙아프리카 CFA 프랑
면적 및 인구
면적2,500,000 km²
기타
현재 국가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 공화국
가봉
국가프랑스
국가 표어라 마르세예즈
상태프랑스 식민 제국의 연맹 (1910–1934) 프랑스 식민지 (1934–1958)
프랑스 국기
프랑스 국기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지도, 1935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지도, 1935년

2. 역사

1910년 프랑스령 가봉, 프랑스령 콩고, 우방기샤리, 프랑스령 차드가 통합되어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가 설립되었다. 브라자빌에 총독이 주재했으며, 각 영토에는 부지사가 배치되었다.[4] 1911년 아가디르 위기 결과로 프랑스는 영토 일부를 독일령 카메룬에 할양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패배로 반환받았다. 카메룬 대부분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에 통합되지 않고 프랑스의 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이 되었다.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특히 우방기샤리 지역은 콩고 자유국과 유사한 특허 제도를 시행하여 잔혹 행위가 발생했다. 1908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프랑스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네 개의 식민지로 분할되었다.[12] 1934년까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와 같은 식민지 연합이었으나, 그해 단일 실체가 되었고, 구성 식민지는 지역(1937년 영토로 변경)으로 불렸다.[13] 통합 식민지는 단일 예산을 가졌고, 통합 전에는 각 구성원이 자체 재정을 보유했다.[14]

1942년 기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총독이 관리했으며, 총독은 "민간 및 군사 부문 모든 서비스의 최고 지휘"를 맡았다.[15] 그러나 행정관과 지역 인구의 수적 차이로 프랑스는 토착민 협력 없이는 권력 행사가 어려웠다.[16] 총독 권한은 프랑스의 중앙 집권적 식민지 정책으로 제한되었다. 1942년 영국 해군 정보 핸드북은 "가장 중요한 법률은 파리에서 제정되고, 총독은 사소한 세부 사항과 벌칙을 채운다"라고 기록했다.[15] 총독은 주요 지역 관리와 아프리카 및 유럽 출신 일부 구성원으로 구성된 행정 자문 위원회(Conseil d'Administration)의 지원을 받았으며, 위원회는 간접 선출되었다.[15] 모든 주요 행정 직책은 프랑스 정부가 임명했으며, 아프리카인 선출 관리에 책임을 지지 않았다. 프랑스는 외교, 국방 및 정치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가졌다.[22]

통합 식민지 하에서 차드, 가봉, 우방기샤리는 총독이 관리했으며, 모옌콩고는 총독 관할이었다. 각 지역에는 행정 위원회와 유사한 지역 이익 위원회(Conseil des Intérêts Locaux)가 있었다. 지역적으로 영토는 임명된 관리자가 감독하는 ''départements''와 하위 구역으로 세분되었다.[17] 유일한 지방 자치 단체는 영토 수도였으며, ''communes mixtes''로 분류되었다. 이 지방 자치 단체는 지역 자치권이 있었지만, 아프리카 대표를 포함한 시장과 의회는 임명되었다.[18]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 앙드레 마추아는 식민주의 반대 운동 ''A.E.F. 원주민 친목회''(Société Amicale des Originaires de l'A.E.F.)를 설립하여[8] 영토 주민의 프랑스 시민권을 요구했다.[9]

제2차 세계 대전자유 프랑스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프랑스 제4공화국과 연방 해체, 그리고 각 식민지의 독립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2. 1. 식민지 연방 성립 (1910년)

1910년에 프랑스령 가봉, 프랑스령 콩고, 우방기샤리, 프랑스령 차드를 통합하여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연방이 설립되었다. 총독브라자빌에 주재했으며, 각 식민지에는 부지사가 배치되었다.[4]

1911년, 프랑스는 아가디르 위기의 결과로 영토 일부를 독일령 카메룬에 할양했다. 이 영토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반환되었고, 카메룬 대부분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에 통합되지 않은 프랑스의 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이 되었다.[4]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특히 우방기샤리 지역에서는 콩고 자유국과 유사한 특허 제도가 시행되었고, 비슷한 잔학 행위가 자행되었다. 작가 앙드레 지드는 우방기샤리를 여행하며 주민들로부터 사지 절단, 처형, 어린이 불태우기, 강제 노동 등 잔학 행위에 대한 증언을 들었다.[4] 1927년에 출판된 지드의 저서 ''콩고 여행''(Travels in the Congo)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특허 회사 제도를 비판하며 프랑스 내 반식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우방기샤리를 비롯한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에서 프랑스 특허 제도하에 희생된 사람의 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아담 호흐쉴드는 프랑스령 콩고와 가봉에서 인구의 절반이 감소했다고 추정했는데, 이는 콩고 자유국의 인구 감소 추정치와 유사하다.[6]

각 식민지의 주도는 다음과 같았다.

식민지주도
가봉 식민지(Colonie du Gabon|가봉 식민지프랑스어)리브르빌
중부 콩고 식민지브라자빌 (총독 소재지)
우방기샤리 식민지방기
차드 식민지포르라미 (현 은자메나)


2. 2. 식민 통치와 저항

1910년에 설립된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EF)는 프랑스령 가봉, 프랑스령 콩고, 우방기샤리, 프랑스령 차드의 네 개 식민지 영토로 구성되었다. 총독브라자빌에 주재하며 각 영토에 부지사를 두었다.[4]

1911년, 프랑스는 아가디르 위기의 결과로 영토 일부를 독일령 카메룬에 할양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반환받았다. 카메룬 대부분은 AEF에 통합되지 않고 프랑스의 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이 되었다.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특히 우방기샤리 지역에서는 콩고 자유국과 유사한 특허 제도가 시행되었고, 이로 인해 비슷한 잔혹 행위가 발생했다. 작가 앙드레 지드는 우방기샤리를 여행하며 주민들로부터 사지 절단, 처형, 어린이 불태우기 등의 잔학 행위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4] 1927년에 출판된 지드의 저서 ''콩고 여행''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특허 회사 제도를 비판하며 프랑스 내 반식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우방기샤리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서 프랑스 특허 제도하의 희생자 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담 호흐쉴드는 프랑스령 콩고와 가봉에서 인구의 절반이 감소했다고 추정한다.[6]

프랑스 당국은 오랫동안 토착 노예 제도를 용인했지만, 1908년에 다르 쿠티 술탄의 노예 무역에 대항하여 행동을 취했고, 1911년에는 그의 노예 습격에 대항하여 조치를 취하여 다르 알 쿠티의 노예들을 해방시켰다.[7]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 앙드레 마추아는 식민주의에 반대하는 운동인 ''A.E.F. 원주민 친목회''(Société Amicale des Originaires de l'A.E.F.)를 설립하여[8] 영토 주민의 프랑스 시민권을 요구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프랑스령 카메룬과 AEF 전체는 1940년 8월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했다. 가봉비시 프랑스에 충성을 유지하다가 가봉 전투 이후 1940년 11월 12일에 자유 프랑스에 합류했다. 이 연방은 아프리카에서 자유 프랑스 활동의 전략적 중심지가 되었으며, 펠릭스 에부에가 AEF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프랑스는 AEF를 불안정한 식민지로 인식하여 지속적인 투자보다는 상아고무와 같은 천연자원 착취를 위해 사기업에 계약을 맺었다. 이들 사기업은 노동자와 지역 공동체에 대해 잔혹한 대우와 가혹한 세금을 부과하며 거의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다.[11]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자유 프랑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프랑스령 카메룬과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EF) 전체는 1940년 8월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했으며, 가봉비시 프랑스에 충성을 유지하다가 가봉 전투 이후 비시 정부가 철수한 1940년 11월 12일에 합류했다.[9] 이 연방은 아프리카에서 자유 프랑스 활동의 전략적 중심지가 되었다. 펠릭스 에부에는 AEF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AEF와 카메룬을 모두 묶는 자유 프랑스 아프리카의 후원하에 별도의 행정 구조가 수립되었다. 독일 국방군에 의해 프랑스 본토의 대부분이 점령당하자,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친독 성향의 비시 프랑스 측에 가담하지 않고 자유 프랑스아프리카 활동 거점이 되었다. 이 때 인접한 프랑스령 서아프리카는 비시 정권을 지지했다.

2. 4. 연방 해체와 독립 (1958-1960년)

프랑스 제4공화국(1946–58) 하에서, 이 연방은 프랑스 의회에 대표되었다. 1958년 프랑스 헌법 국민 투표에서 영토들이 프랑스 공동체 내에서 자치령이 되도록 투표했을 때, 이 연방은 해체되었다. 1959년에 새로운 공화국들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연합이라는 임시 연합을 형성한 후 1960년 8월에 완전한 독립을 달성했다.

3. 행정

피에르 사보르냥 드 브라자는 토착 공동체에 더 많은 무역 기회를 제공하는 대가로 프랑스와 협력하도록 설득하면서, 프랑스 보호를 약속하는 조약을 통해 1800년대 중반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연합의 개념을 구현했다. 이 연합은 결국 이 지역에서 프랑스의 간접 통치로 이어졌다.[10] 그러나 프랑스의 간접 통치 시도는 지역 지도자들의 지속적인 저항에 직면했다.[11]

프랑스는 AEF를 불안정한 식민지로 인식했다. 따라서 프랑스는 지속 가능한 투자를 하기보다는 상아고무와 같은 천연 자원의 착취를 위해 사기업에 계약을 맺었다. 사기업들은 거의 또는 전혀 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노동자와 지역 공동체에 대한 잔혹한 대우와 함께 가혹한 세금을 부과했다.[11]

1908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이 지역 내에서 프랑스의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네 개의 식민지로 분할되었다.[12] 1934년까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와 같은 프랑스 식민지의 연합이었다. 그러나 그해, AEF는 단일 실체가 되었고, 구성 식민지는 지역으로, 1937년에는 영토로 알려지게 되었다.[13] 통합된 식민지에는 단일 예산이 있었고, 통합 전에는 각 구성원이 자체 재정을 가지고 있었다.[14]

1942년 기준으로 AEF는 총독이 관리했는데, 총독은 "민간 및 군사 부문 모든 서비스의 최고 지휘"를 맡았다.[15] 그러나 행정관과 지역 인구의 수적 차이로 인해 프랑스는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토착민의 협력 없이는 본부 밖에서 권력을 행사하기가 어려웠다.[16] 또한 총독의 권한은 프랑스의 중앙 집권적인 식민지 정책에 의해 실제로 제한되었다. 1942년 영국 해군 정보 핸드북의 저자는 "가장 중요한 법률은 파리에서 제정되고, 총독은 사소한 세부 사항과 벌칙을 채운다"라고 썼다.[15] 총독은 주요 지역 관리와 아프리카 및 유럽 출신의 일부 구성원으로 구성된 행정 자문 위원회(Conseil d'Administration)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 위원회는 간접적으로 선출되었다.[15] 모든 주요 행정 직책은 프랑스 정부가 임명했으며, 아프리카인들이 선출한 관리에게 책임을 지지 않았다. 또한 프랑스는 외교, 국방 및 정치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가졌다.[22]

통합된 식민지 하에서 차드, 가봉, 우방기샤리의 세 지역은 총독이 관리했으며, 모옌콩고는 총독의 관할하에 있었다. 각 지역에는 행정 위원회와 유사한 지역 이익 위원회(Conseil des Intérêts Locaux)가 있었다. 지역적으로 영토는 임명된 관리자가 감독하는 ''départements''와 하위 구역으로 세분되었다.[17] 유일한 지방 자치 단체는 영토의 수도였으며, 이들은 민주적으로 선출된 위원회를 가진 세네갈의 ''communes de plein exercice''와는 대조적으로 ''communes mixtes''로 분류되었다. 비록 이 지방 자치 단체가 지역 자치권의 특정 권한을 가지고 있었지만, 아프리카 대표를 포함한 시장과 의회는 임명되었다.[18]

1910년에 가봉 식민지, 중앙 콩고 식민지(현 콩고 공화국), 우방기샤리 식민지(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3개 지역에 연방제를 실시하여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를 설립했다. 1920년에는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 소속되어 있던 차드 식민지도 더해져 4개 지역 체제가 되었다. 총독브라자빌에 상주했으며, 그 대리가 각 지역의 주도로 가서 통치를 맡았다. 각 지역의 주도는 다음과 같다.

식민지명주도
가봉 식민지 (Colonie du Gabon프랑스어)리브르빌
중부 콩고 식민지브라자빌 (총독 소재지)
우방기샤리 식민지방기
차드 식민지포르라미 (현 은자메나)


4. 지리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아프리카의 8분의 1이 조금 안 되는 면적을 차지하며, 현재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공화국, 콩고 공화국, 가봉 공화국[20], 카메룬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화강암 고원에 걸쳐 있었으며, 북동쪽으로는 티베스티 산맥, 와다이 고원, 다르 페르티트 산괴가, 동쪽으로는 다르푸르, 남서쪽으로는 크리스탈 산맥과 마욤베가 위치해 있었다.[19]

두 개의 분지가 영토의 중앙부와 남부를 차지하고 있었다. 차드호가 잔해로 남아 있는 차드 분지와, 콩고강과 그 주요 지류(우방기강, 상가강, 알리마강)가 관통하는 콩고 분지가 그것이다. 스페인령 기니 (현재의 적도 기니) 본토에서 콩고강까지 해안 평원이 뻗어 있었다.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최고점은 티베스티의 에미 쿠시 산 (3415m)이었다.[19]

영토가 매우 넓었기 때문에, 기후는 지역에 따라 극적으로 달랐다. 북쪽은 특히 건조한 사막 기후였고, 남쪽은 습한 열대 기후였다. 식생은 이러한 차이에 영향을 받았다. 북쪽에서는 비가 거의 오지 않아 가시 덤불 몇몇을 제외하고는 식생이 거의 발달할 수 없었다.[22] 중앙부에는 사바나 지대가 있었고, 이곳에서는 수수, 땅콩, 카사바가 재배되었다. 남쪽에는 습한 열대 우림이 있었으며, 이곳에서는 흑단과 오쿠메와 같은 다양한 종이 채취되었다. 해안 지역에서는 바닐라, 코코아, 커피가 재배되었다.[23]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영국령 나이지리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이탈리아령 리비아, 영국령-이집트령 수단, 벨기에령 콩고와 경계를 접했다. 서쪽으로는 대서양과 접해 있었다.[24]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는 다음과 같은 영토로 구성되었다.

5. 우표

1937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우표, 폴 크람펠 묘사


1936년까지 네 개의 지역 우정 행정부는 별도로 운영되어 각자 자체 우표를 발행했다. 그 해에 가봉과 중앙 콩고 우표는 '''AFRIQUE / ÉQUATORIALE / FRANÇAISE'''로 덧인쇄되었다. 1937년에는 현지 풍경과 식민지 형성에 핵심적인 프랑스 인물들을 묘사한 상설 시리즈가 발행되었으며, 1940년까지 매년 다양한 색상과 액면가가 변경되었다.

1940년 자유 프랑스는 1937년 시리즈를 '''AFRIQUE FRANÇAISE / LIBRE''' 또는 단순히 '''LIBRE'''로 덧인쇄했으며, 1941년에는 불길에서 일어나는 불사조를 묘사한 시리즈를 발행했다.

1946년에는 현지 풍경과 사람들을 묘사한 새로운 상설 시리즈가 발행되었고, 1950년대에는 20여 개의 우표가 더 발행되었으며, 마지막은 1958년 12월 10일에 발행된 인권 기념 우표였다.[25]

참조

[1]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African Education and Indigenous Knowledg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06-02
[2] 문서 French Equatorial Africa and Cameroons Naval Intelligence Division 1942
[3] 서적 French Colonialism: From the Ancien Régime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뉴스 Colonial Ghosts Continue to Haunt France https://www.nytimes.[...] 2023-02-03
[5] 간행물 Voyage au Congo suivi du Retour du Tchad https://web.archive.[...] Lire 1995-07-00
[6] 서적 King Leopold's Ghost: A Story of Greed, Terror, and Heroism in Colonial Africa Pan Macmillan 2023-07-00
[7] 서적 Slaver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Evolution of a Global Problem AltaMira Press
[8] 서적 The Dissolution of the Colonial Empir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서적 Les voies du politique au Congo: essai de sociologie historique https://books.google[...] Karthala
[10] 간행물 Colonial Policies and Practices https://link.gale.co[...] Charles Scribner's Sons
[11] 서적 Encyclopedia of Western Colonialism since 1450
[12] 간행물 French Equatorial Africa https://link.gale.co[...] Charles Scribner's Sons
[13] 문서 Naval Intelligence Division
[14] 문서 Naval Intelligence Division
[15] 문서 Naval Intelligence Division
[16] 간행물 France in Tropical Africa https://link.gale.co[...] Macmillan Reference USA
[17] 문서 Naval Intelligence Division
[18] 문서 Naval Intelligence Division
[19] 간행물 The Geology of French Equatorial Africa: Review https://doi.org/10.2[...] The Geographical Journal
[20] 백과사전 French Equatorial Afric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1999-02-15
[21] 백과사전 French Equatorial Africa https://www.oxfordre[...] Oxford Reference 2022-04-20
[22] 간행물 French Equatorial Africa http://www.jstor.org[...] Current History
[23] 간행물 L'Afrique équatoriale française La Géographie par l'image et la carte
[24] 간행물 La France d'Outre-Mer Memento Larousse
[2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8-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